2026년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과 가구별 기준표, 조회 방법까지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제도와 각종 정부 지원금의 자격 판단 기준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해마다 보건복지부가 공표하며, 기초생활보장, 아동수당, 청년 지원금, 긴급복지지원 등 다양한 제도의 소득 요건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많은 가구가 지원 가능 여부를 따지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과 가구별 기준표, 활용법까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전국 모든 가구의 소득 분포를 기준으로 중앙값을 산출하여, 복지 수급 자격을 정하는 기준선입니다. 쉽게 말해, 대한민국 가구 소득의 '중간 수준'을 의미하며, 복지 정책에 따라 일정 비율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지원 대상이 됩니다.
2. 2026년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8월쯤 발표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매년 공식 보도자료 및 PDF 기준표 제공
- 복지로 홈페이지 :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등 개별 서비스 신청 시 가구별 기준 자동 안내
- 국민신문고 및 지자체 복지포털 : 각 지자체 맞춤형 복지 서비스 기준 확인 가능
- 국세청 홈택스 : 일부 지원금 신청 시 소득 비교 자료로 활용 가능
3. 2026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이 기준은 매년 물가와 소득 변동을 반영하여 조정됩니다. 2025년과 비교했을 때 역대 최대인 6.51% 인상되었고,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제도개선을 통해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기준 중위소득 활용 예시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치가 아니라 실제 복지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기초생활보장제도 : 중위소득 30~50% 이하 가구 지원
- 아동수당 : 일정 중위소득 이하 가구 지급
- 청년·주거급여 지원 :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지원
- 건강보험료 경감 : 중위소득 일정 수준 이하 가구 적용
중위소득 % 계산기
가구원 수를 고르고 월 소득을 입력하면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을 계산해 드립니다.
※ 아래 중위소득 값은 예시입니다. 보건복지부 고시값으로 수정해 사용하세요.
기준 구간(선택 가구 기준)
구간 | 금액 하한 | 금액 상한 |
---|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값 편집(원)
📌 실제 기준 중위소득 산정 방식 (보건복지부 발표 기준)
- 통계청에서 매년 전국 가구의 균등화 가처분 소득 자료를 수집합니다.
- ‘가처분 소득’이란 세금과 사회보험료를 뺀 뒤 실제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 ‘균등화’란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을 나누어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가구원이 많으면 소득이 더 필요하므로 조정)
- 이 자료를 소득 순으로 배열한 뒤 가운데 위치한 값을 산출합니다.
- 이 값을 기준으로 30%, 40%, 50%, 60% 등 비율을 적용하여 복지제도의 지원 범위를 나눕니다.
- 예: 기초생활수급자 →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 긴급복지지원 →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예시 가구별 추정치)
(실제는 보건복지부 발표 이후 확정됨, 아래는 이해를 위한 가상의 수치입니다.)
1인 가구 | 220만 원 | 66만 원 | 110만 원 | 154만 원 |
2인 가구 | 370만 원 | 111만 원 | 185만 원 | 259만 원 |
3인 가구 | 480만 원 | 144만 원 | 240만 원 | 336만 원 |
4인 가구 | 590만 원 | 177만 원 | 295만 원 | 413만 원 |
5인 가구 | 690만 원 | 207만 원 | 345만 원 | 483만 원 |
👉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월 소득이 280만 원이라면 기준 중위소득(590만 원)의 약 47% 수준이므로,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기준 30% 이하) 대상은 아니지만, 일부 다른 복지제도(50% 이하, 60% 이하 기준 적용)에는 해당될 수 있습니다.
즉, "중위소득 계산"은 단순히 숫자를 보는 게 아니라, 내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에 해당하는지 계산하여 복지제도 자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5. 확인 시 주의할 점
- 가구원 수 산정 방식이 중요합니다. 주민등록상 세대원 기준이 아니라 ‘실제 부양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맞벌이 가구는 소득 합산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소득은 근로소득뿐만 아니라 사업·이자·연금·재산 소득까지 포함됩니다.
6. 마무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 혜택과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첫 관문입니다. 정확한 기준을 확인하고, 복지로 및 보건복지부 사이트를 통해 본인 가구가 지원 대상인지 반드시 조회해보시길 권장합니다.